반복문
반복문은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결과 값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문의 순서를 반복적으로 실행시키는 문법을 말합니다. 반복문에는 while문, do while문, for문이 있으며, for문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.
1. while문
while문의 형식
while문 <--> for문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.
{
let num = 1;
while( num <= 5){
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.");
num++;
}
실행되었습니다.
// //for
// for (let i=0; i<=4; i++){
// 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");
// }
}
2. do while문
do while문은 while문과 비슷하나 while문은 모든 조건을 계산한 후 출력하는 반면,
do while문은 첫 결과값을 출력한 후 조건을 계산하는 차이가 있습니다.
{
let num = 1;
do {
document.write("실행되었습니다2.");
num++;
} while (num <= 5);
}
실행되었습니다2.
3. for문
for문은 가장 많이 쓰이는 반복문으로 if문 처럼 for문 안에 또 다른 for문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-1. for문
for문의 형식입니다. 2가지 방식 모두 알아야 합니다.
{
for( let i = 1; i<6; i++ ){
document.write(i,"실행되었습니다.<br>")
}
1실행되었습니다.
2실행되었습니다.
3실행되었습니다.
4실행되었습니다.
5실행되었습니다.
6실행되었습니다.
//이전에 배운 for문 위의 내용이랑 비교하여 알아두기
// let num = [1,2,3,4,5,6];
// for(let i =0; i<num.length; i++){
// document.write(num[i],"실행되었습니다.<br>");
// }
}
3-2. 중첩 for문
for문 안에 for문을 넣어 중첩하여 반복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.
{
for( let i=1; i<=2; i++){
document.write(i + "실행");
for( let j=1; j<=5; j++){
document.write(j + "실행"); //i가 한번 실행되면 j가 5번 실행됨
}
}
}
1실행1실행2실행3실행4실행5실행2실행1실행2실행3실행4실행5실행
0부터 99까지 출력하기
//0부터 99까지 출력하기
for( let i=0; i<100; i++ ) {
document.write( i )
}
결과 확인하기
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
//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
for( let i=1; i<=100; i++ ) {
document.write( i )
}
결과 확인하기
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 ( 짝수 )
//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 ( 짝수 )
for( let i=2; i<=100; i+=2 ) { // i += 2--> i = i + 2
document.write( i )
}
결과 확인하기
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 ( 5의 배수 )
for (i=1; i<=100; i++){
if( i % 5 == 0 ){
document.write(i);
}
}
결과 확인하기
1부터 100까지 출력하기 ( 5의 배수는 빨간색, 7의 배수는 파란색 )
for (i=1; i<=100; i++){
if( i % 5 == 0 ){
document.write("<span style='color: blue'>"+i+"</span>"); //"++"는 문자열과 숫자를 혼합해 쓰기 위한 방식
} if( i % 7 == 0){
document.write("<span style='color: red'>"+i+"</span>");
}
}
결과 확인하기
99단 출력하기
for( let i = 2; i<=9; i++){
for( let j=1; j<=9; j++){
let sum = i * j;
document.write(i + "*" + j + " = " + sum);
document.write("<br>");
}
}
결과 확인하기
2*2 = 4
2*3 = 6
2*4 = 8
2*5 = 10
2*6 = 12
2*7 = 14
2*8 = 16
2*9 = 18
3*1 = 3
3*2 = 6
3*3 = 9
3*4 = 12
3*5 = 15
3*6 = 18
3*7 = 21
3*8 = 24
3*9 = 27
4*1 = 4
4*2 = 8
4*3 = 12
4*4 = 16
4*5 = 20
4*6 = 24
4*7 = 28
4*8 = 32
4*9 = 36
5*1 = 5
5*2 = 10
5*3 = 15
5*4 = 20
5*5 = 25
5*6 = 30
5*7 = 35
5*8 = 40
5*9 = 45
6*1 = 6
6*2 = 12
6*3 = 18
6*4 = 24
6*5 = 30
6*6 = 36
6*7 = 42
6*8 = 48
6*9 = 54
7*1 = 7
7*2 = 14
7*3 = 21
7*4 = 28
7*5 = 35
7*6 = 42
7*7 = 49
7*8 = 56
7*9 = 63
8*1 = 8
8*2 = 16
8*3 = 24
8*4 = 32
8*5 = 40
8*6 = 48
8*7 = 56
8*8 = 64
8*9 = 72
9*1 = 9
9*2 = 18
9*3 = 27
9*4 = 36
9*5 = 45
9*6 = 54
9*7 = 63
9*8 = 72
9*9 = 81
for문을 이용해서 테이블 출력하기(100칸)
중첩 for문을 이용해서 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.
let table = "<table>";
for( let i=0; i<10; i++){
table += "<tr>";
for( let j=0; j<10; j++){ //중첩 for문
table += "<td>★</td>";
}
table += "</tr>";
}
table += "</table>";
document.write(table);
결과 확인하기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 ★ |
for문을 이용해서 테이블 출력하기2(100칸)
let table = "<table class='test_Table'>";
let count = 1;
for ( let i=1; i<=10; i++){
table += "<tr>";
for ( let j=1; j<=10; j++){
table += "<td>"+count+"</td>";
count++;
}
table += "</tr>";
}
table += "</table>"
document.write(table);
댓글